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오늘의 뉴스터치는 20대 청년들이 가담한 보이스피싱 이야기로 시작합니다. <br> <br>20대 여성이 보낸 SNS 메시지입니다. "영상을 보냈다"는 글이 보이는데요. 영상을 재생해 보겠습니다. <br><br>[김모 씨 / 보이스피싱 수거 담당] <br>"도주를 하거나 연락이 안 될 시에는 제 모든 정보를 검찰에 넘기는 것을 동의합니다. 됐죠?" <br><br>영상 속 인물은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에게 돈을 받아오는 수거 담당, 24살 김모 씨인데요. "배신하지 않겠다"는 동영상 맹세를 남기고 범행에 나섰습니다. <br><br>김 씨가 도착한 곳은 서울 강북구의 한 도로입니다. '검사'를 사칭해 보이스 피싱 피해여성에게 돈을 받아 챙기는데요. 돈을 받자마자 5만 원권으로 가득한 돈 봉투 영상을 찍어 조직 윗선에 수금이 성공했다고 알렸습니다. <br><br>경찰은 김 씨 등 조직원 8명을 검거했는데요. 이들은 금융감독원을 사칭해 피해자들에게 전화를 건 뒤 "통장이 범행에 쓰였으니 돈을 찾아 검찰 수사관에게 넘기라"고 했습니다. 보름 동안 챙긴 범죄 수익이 3억4천만 원이 넘습니다. <br> <br>조직원 중에는 김 씨 같은 20대 청년들도 있었는데요. 사전에 조직에 맡긴 신분증과 맹세 동영상이 약점으로 잡혀 범죄인 줄 알면서도 그만두지 못했다고 합니다. <br><br>[안영길 / 서울 강북경찰서 강력 1팀장] <br>"연락이 안될 경우 검찰청에 정보를 보낸다는 식의 협박용으로 사용한 것이죠." <br><br>고수익 아르바이트라는 유혹에 빠져 보이스피싱에 가담했다간 단순한 심부름만 해도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특히 주의해야겠습니다. <br><br>뉴스터치 두 번째 이야기는 수백 명을 울린 투자사기단 이야기입니다. <br><br>양복 차림의 남성이 투자설명회를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[이모 씨 / 영업이사] <br>"일 평균 거래대금이 4조 달러, 한국 돈으로 4천조 원이 넘어요." <br><br>이들은 서울 강남에 사무실을 두고 자신들이 "해외에 자회사까지 둔 전문 투자회사"라고 소개했습니다. <br> <br>미국 헤지펀드에 투자해 연 12%의 고수익을 낸다는 말에 속아 900여 명이 450억 원을 투자했지만, 경찰 확인 결과 펀드 투자는 이뤄진 적도 없었습니다. <br> <br>피해자들은 가정 주부부터 의사까지 다양했는데요. 경찰은 투자금을 가로챈 업체 대표와 영업이사를 구속했습니다. <br> <br>고수익을 약속하는 투자를 권유를 받으면 믿을만 한 투자사인지 꼭 확인해 보셔야겠습니다. <br><br>뉴스터치였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김찬우 조세권